최초의 식육동물(flesh-eating mammals Replica)-20121024-5 품절

판매가 300000

할인판매가 300,000원 총 할인금액 원 (모바일할인금액 원)

적립금

  • 0원(0%)
  • 무통장 결제시 적립금 %
  • 카드 결제시 적립금 %
  • 실시간 계좌 이체시 적립금 %
  • 적립금 결제시 적립금 %
  • 휴대폰 결제시 적립금 %
  • 예치금 결제시 적립금 %
  • 에스크로 결제시 적립금 %
  • 가상계좌 결제시 적립금 %
기본 정보
국내/해외배송
배송비 방법 택배
배송비 4,000원 (5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수량 up  down  
상품 목록
상품 정보 가격 삭제
[총 상품금액(수량)] 0 (0개)

일반명 : 최초의 육식동물(flesh-eating mammals Replica)

  : Paroodectes feisti

지질시대(Age) : 신생대 중기에오세(Middle Eocene,  About 47 My)

원산지(Locality) : Messel Pit, Darmstadt Germany

  : Slate 22x17 cm

 

Scientific classification

동물계(Kingdom: Animalia)

척삭동물문(Phylum: Chordata)

척추동물아문(Subphylum: Vertebrata)

포유강(Class: Mammalia)

식육동물목(Order: Carnivoramorpha)

미아키스상과(Superfamily: Miacoidea)

미아키스과(Family: Miacidae)

 

관찰 : 신생대 초기에는 육시동물은 풍부하지 못했으나 메셀에서는 진정한 육식 동물과 육치류가 등장했다고 볼 수 있다. 그자리(육식동물)는 육치류가 대신하고 있었다. 이곳에서 육식동물인 파루틱테스(Paroodectes)가 발견됐다. 파루딕테스는 진정한 육식동물로 크기와 모습이 고양이와 유사하다. 이들은 먹이로 새와 작은 포유류 사냥했다. 이들의 긴꼬리는 나무위에서 가지와 가지사이를 점프할 때 균형을 유지하는데 사용했다. 파루딕테스는 에오세의 다른 육식동물들과 마찬가지로 담비나 사향고양이를 닮은 미아시드과(Miacids/Miacidae)의 멸종된 개체로 에오세말에 멸종하지만 현생의 개과와의 계통도 뿌리로 보고 있다.

 

Observations: True carnivores were not abundant in the first part the Cainozoic era. The main role of the flesh-eating mammals was held by another group, the Creodonta. From the fossiliferous locality of Messel are known both Creodonta and Carnivora, each group including at least one species. Paroodectes feisti is a true carnivore and it has the size and the appearance of a cat. It must be a climbing animal capable of hunting birds and small mammals. On the tree, its long tail must be used like a balance for jumping from a branch to another. Paroodectes, as most of the Eocene carnivores, belongs to an extinct family, the Miacidae, superficially marten-like or civet-like. They vanished at the end of the Eocene epoch, but could be close to the root of the dog lineage.

 

[참고]

1875년경 고생물학자 루돌프 루트비히는 처음으로 악어화석 일부를 발견한다. 덕분에 많은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표본들이 발견되지만 화석이 발견되는 층의 암질이 습기가 변화하면 급속하게 파괴(붕괴)되는 관계로 보존할 수가 없었다. 이후 1960년경 합성수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시도 되면서 현재의 표본보존 방안이 완성되었다. 이 방법은 제일먼저 .화석이 발견되면 표면이 마르기 전에 빨리 발굴한 후 그 위에 합성수지를 넓게 바른다. 그러면 오일셰일퇴적암 암질속에 있던 화석은 합성수지에 고착되어진다. 이후 합성수지 판을 회수하여 2차 발굴을 완성하고 합성수지의 외곽을 절단하여 완성된다.

 

이런 관계로 메셀화석 표본을 보면 마치 레플리카(Replica=진품화석을 복제하여 전시 연구하는 방식의 표본제작 방식)로 만든 가짜화석(복제본)처럼 보인다. 그러나 표본을 자세하게 관찰하면 화석부분은 수지가 아니아 실물화석이란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화석의 보존에서 종종 사용하는 특수공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