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가 130000
할인판매가 130,000원 총 할인금액 원 (모바일할인금액 원)
국내/해외배송 | |
---|---|
배송비 방법 | 택배 |
배송비 | 4,000원 (5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
수량 |
![]() ![]() |
상품 정보 | 가격 | 삭제 |
---|---|---|
[총 상품금액(수량)] 0 (0개) |
(Fossilworld is a company that specializes in fossils, minerals, rocks, jewels, original rocks, meteorites. We also specializes in exhibition, training manuals, museum consulting and field experiences. If you have questions or comments, please visit our homepage at Http://www.fossilworld.co.kr, give us a call at 02-429-6706, or visit us directly.)
이름(Name): 봉합선의 형태를 이해할 수 있는 대형 암모나이트 화석 230608-1
학명(Scientific Name): Cleoniceras besairiei
과학적분류(Scientific classification)
↘계(Kingdom): 동물계(Animalia)
↘문(Phylum): 연체동물문(Mollusca)
↘강(Class): 두족강(Cephalopoda)
↘목(Order): 암모나이트목(Ammonitida)
↘상과(Super Family): 호플리타체에(Hoplitaceae)
↘과(Family): 호플리티대(Hoplitidae)
↘속(Genus): 클레오니세라스(Cleoniceras) Parona and Bonarelli 1897
↘종(Species): 베사이리에이(besairiei)
시대(Age): 중생대 백악기 중기(Cretaceous, Mesozoic / Albian 109.0 to 105.3 Ma / 약 1억 900만년 전)
산지(Location): 마다가스카르(Mahajanga, Madagascar) (16.5° S, 46.0° E: paleocoordinates 40.3° S, 31.5° E)
지층(Formation): 엠베리마닝가층(Ambarimaninga Formation)
크기(Size): Ø170mm
내 용(Content): 암모나이트 봉합선의 형태는 그 종속에 따라 고유한 것이기 때문에 종속의 판별에 기초가 됩니다. 암모나이트의 조상으로 불리는 고생대 고니아타이트의 봉합선은 단순한 선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세라타이트, 암모나이트로 들어서면서 봉합선은 복잡한 형태를 가지게 됩니다. 암모나이트의 봉합선을 보면 복잡하게 구불구불한 형태를 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위에서 보았을 때 뿐만 아니라 옆에서 보았을 때도 봉합선은 구불구불한 형태를 하게 됩니다. 아래 그림의 암모나이트 화석 표본은 내부를 오목하게 파내었는데 암모나이트 봉합선이 내부로 이어지는 연결고리에서 단순하게 1자로 내려가는 것이 아니라 구불구불하게 이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암모나이트 상식(화석월드)
1. 암모나이트의 가장 가까운 생활 친척 - 낙지, 오징어, 오징어 그리고 노틸러스와 가장 가까운 사촌.
2. 암모나이트는 처음에는 450 백만 년 전에 얕은 바다에서 나타났습니다.
3. 암모나이트 멸종 - 6 천 5 백만 년 전 공룡과 함께 백악기의 격변적 사건에서.
4. 암모나이트 생명의 시작- 지름이 1 mm 미만의 문장의 마침표 크기의 유생으로 알에서 태어났지만 그들은 빨리 자랐다.
5. 암모나이트 암컷 - 수컷보다 400 % 커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6. 암모나이트 껍질 - 암모나이트가 성장하는 챔버로 구성. 4주마다 한마디씩 매년 13 개의 새로운 방을 만들었다. 그러므로 26개의 방을 가지는 암모나이트는 2년정도 살았다고 예측할 수 있다.
7. 암모나이트 수명 – 암모나이트는 보통 2년정도 살았으며 좀더 살았던 종도 있다.
8. 암모나이트 생활 - 노틸러스와 마찬가지로 암모나이트도 평생 동안 원래의 껍질을 유지했다. 그러나 차가운 깊은 물에 사는 현대의 노틸러스와 비교할 때 암모나이트는 따뜻한 얕은 물을 선호하며 더 높은 신진 대사를 보였으므로 결과적으로 암모나이트가 현대의 노틸러스보다 훨씬 더 큰 크기에 도달 할 가능성이 있다.
9. 암모나이트 먹이 - 암모나이트는 연체 동물, 물고기 및 다른 두족류를 포함한 대부분의 살아있는 해양 생물에게 먹이를 먹으며 시간의 포식 동물이었다.
10. 암모나이트 주거공간 - 암모나이트의 수명의 대부분은 얕은 물에서 보냈다. 이것을 뒷받침하는 증거로는 따뜻한 지역에서 가장 많은 화석이 발견되었다. 또 다른 증거로는 그들의 껍질이 깊은 물 (100 미터 이상)에 존재하는 고압을 견딜 수 있는 가능성은 희박하기 때문이다.
11. 암모나이트는 결국 대한민국 제주의 해녀와 같은 생활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12. 중세유럽 - 암모나이트는 석화된 뱀으로 생각했다. 그들은 "snakestones" 또는 "독사 돌"이라고 불렸다.
Copyright © 2000 화석월드 All rights reserved.